이 글은 북한소설에서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자들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소설을 물론 한국전쟁 기간 중미군에 노획된 노획문서, 『조쏘친선』, 『조쏘문화』와 관련 잡지와 기록들을 참조하여 북한소설과 러시아소설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 북한소설에 나타나는 혁명가의 초상과 혁명가형상의 변모 과정을 살폈다. 북한은 항일무장투쟁 시기를 다룬 소설에 등장하는 혁명가를형상화할 때 소련소설에 등장하는 당시 러시아 혁명가의 모습을 모방․참조한 것이 아니라혁명가들에 의해 공청원으로 키워진 주인공들의 모습을 참조하여 주체형 공산주의자와 항일혁명투사형 등 혁명가들의 성격을 내용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1930∼1940년에 창작된소련소설들에 등장하는 노동 영웅이나 공청원들의 모습은 항일무장투쟁 시기를 다루는 북한소설에서 혁명가의 모습으로 변모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