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량강도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겨레말큰사전』 제25차 남북공동회의 논의 대상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emantic Pattern of Place Name in Ryanggang-do

상세내역
저자 변영수
소속 및 직함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발행기관 겨레어문학회
학술지 겨레어문학
권호사항 (5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1-112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량강도   #지명 요소   #[지시]   #[±구체물]   #[±생명성]   #[상태]   #[±형태]   #변영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은 북한의 량강도 지명형태소의 의미론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고유 지명 요소는 일차적으로 [지시]의 의미를 가진다. 이들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지시][+구체물][+생명성][+사람][+형태]는 [신체]의 자질을, [-형태]는 [행위]의 자질을 나타낸다. [지시][+구체물][+생명성][-사람]은 [+형태]로만 분화되고, 이것은 [동물], [식물]로 나뉜다. [지시][+구체물][-생명성][+자연물][+형태]는 [사물]을, [-형태]는 [공간]을 의미한다. [지시][+구체물][-생명성][-자연물][+형태]도 [사물]을, [-형태]는 [공간]을 의미한다. [지시][-구체물]은 [상태]로만 분화되고 이것은 [+형태]가 [모양]을, [-형태]가 [속성]을 나타낸다. 량강도 지명의 속성 지명 요소는 [±자연공간], [±지형]으로 구분된다. [±높이], [±자연]의 자질에 따라 속성 지명 요소도 세분화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