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1987년까지 역대 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 3·1운동 표상화의 역사적·정치사회적 의의를 살펴본다. 이승만 정부는 1949년 대한민국이 유엔의 승인을 받아 독립국가가 되고 처음 3·1절을 맞았다고 선언했다. 정부는 초기부터 3·1절 기념식을 지휘하며 국가 독점의 기억을 강요했다. 이때의 3·1절 기념의례의 방식은 권위국가하에서 거의 그대로 재현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3·1정신을 ‘자유민주주의’와 ‘반공통일’의 표상으로 轉用·專有했다. 박정희 군사정부가 들어서고 3·1절 기념식은 축소되었다. 정부의 3·1절 기념식이 계속 서울시 주최로 개최되고, 기념식 장소가 실내로 이동하여 간소화되는 등 이 정부는 3·1절 기념행사와는 거리 두기 방침을 취했다. 박정희 정권은 3·1정신을 ‘민족단결’의 표상으로 재구축했고, 이는 경제적 성장을 우선시하는 ‘조국 근대화’의 표상과 결합되었다. 또한 북한에 대항하는 ‘(반공)평화통일’의 표상을 통해 정통성을 인정받으려 했다. 전두환 군사정권은 국경일 기념식을 다시 정부 주최로 격상하여 거행하며, 3·1절 기념의례를 정권 유지 차원에서 적극 활용했다. 이 시기에는 3·1정신의 ‘국민화합’과 ‘민족통일’의 표상이 부상했다. 냉전체제가 지속되면서 반공의 ‘민족혼’의 표상이 되살아나기도 했다. 전두환 정부의 3·1운동 인식은 박정희 정부 시기 ‘민족단결’과 ‘(반공)평화통일’의 표상과도 일맥상통했다. 권위주의 정부는 독재정권 연장을 위한 왜곡된 민족주의, 민주주의, 통일상만을 강요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