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 탐색

A study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North Korea in 2013

상세내역
저자 김진숙, 박수련, 이나연
소속 및 직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권호사항 1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49-368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북한 교육과정 문서 체계   #북한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김진숙   #박수련   #이나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개정한 2013년 북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총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북한에서 교육과정은 ‘교육강령’이라고 하며, 총론인 ‘과정안’, 교과인 ‘교수요강’이 포함되어 있다. 총론은 목표, 학제, 총 교육시간, 교육과정의 영역 및 교과 구성과 시간, 학교 교육과정, 학생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새 학제는 유-초-중-고의 연한을 2-5-3-3으로 하고 유치원 1년(높은 반)과 초중등교육을 합한 12년 무상의무교육제이다. 목표는 교육이념부터 학교급별 도달목표에 이르기까지 사회주의 이념과 김일성 가계의 우상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영역은 교과와 비교과(‘과외활동’)로 구성되며, 교과는 학교급별로 북한특수교과 4개씩과 일반교과로, 비교과는 과외체육 등 3영역으로 되어 있다. 영어와 정보기술이 초등학교부터 필수이며 고등학교에 부분적으로 선택과목이 도입되었다. 교육시간은 일수, 주수, 시수 등으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교과와 비교과 모두 남한보다 많은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학교교육과정은 편성보다 운영을 강조하며 평가 지침은 구체적이고 상세하다. 연구 결과 남북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1) 남북한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2) 남북한 교육과정의 장점을 바탕으로 한 통합, (3) 통일 시기별 대응 (4) 비교과영역 활용, (5) 남북한 교수학습 실태 등 5가지 시사점과 해결 방안을 도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