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통한 청소년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Analysing Youth Education Regarding Unification through Junior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상세내역
저자 윤혜순
소속 및 직함 숭실사이버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청소년학회
학술지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2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35-359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통일   #북한   #통일교육   #사회교과서   #통일교육지침서   #윤혜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통일’ 관련 내용 중심으로 특징을 분석하여 청소년 통일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 검정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대해 통일교육지침서(학교용)를 분석기준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통일관련 내용이 매우 적은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한국’은 대부분 남한을 의미하지만, 북한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 통일 과정은 국제정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설명이 거의 없다. 넷째, 지리영역에서 북한과 남한 지도가 별도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북한 개방지역, 백두산, 비무장 지대, 동아시아에서 한반도 위치에 대한 서술이 대부분이다. 다섯째, 통일교육지침 중 북한이해, 통일환경 이해, 통일 정책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다. 여섯째, 통일문제이해는 분단폐해, 통일필요성, 통일편익에, 통일을 위한 과제는 교류협력에 초점을 두고 서술되어 있다. 통일을 위해서는 첫째, 북한의 정치, 경제, 외교, 사회, 문화, 지리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서술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을 위한 국제정세 변화 및 협력 확보 방안 등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된 미래사회에 대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제시가 필요하며, 통일 후 남북한 주민갈등 상황 등 극복해야 하는 과제에 대한 서술도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통일을 위한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는 서술이 필요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