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국어 문법사 연구에 대하여

On the Researches of History of Korean Grammar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권재일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한글학회
학술지 한글
권호사항 (3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5-87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북한   #문법사   #시대 구분   #문법범주   #체언토   #용언토.   #권재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북한에서 출판된 <조선어학전서>를 중심으로 북한의 국어 문법사 연구의 특성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의 북한의 국어 문법사의 연구 성과를 통해 연구 성격, 연구 대상, 연구 방법이 어떠하였는지를 확인해 보는 언어학사적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서 앞으로 남북 통일 과정에서나 통일 이후에 남북한 국어학 연구가 서로 협력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북한의 문법사 연구에서 제시한 시대 구분은 다음과 같다. (1) 고대 조선말(기원전 30세기~기원전 3세기), (2) 중세 전기 조선말(기원전 3세기~10세기), (3) 중세 중기 조선말(10세기~16세기), (4) 중세 후기 조선말(17세기~1865년), (5) 근대 조선말(1866년~1925년), (6) 현대 조선말(1926년~현재). 북한의 국어 문법사 서술의 성격은 ‘투쟁’과 ‘창조’이다. 문법 변화를 외래 침략자들에 대한 투쟁의 역사로 보며, 그 변화는 창조의 결과물로 해석한다. 연구 방법은 각 시대의 공시적 문법 기술을 바탕으로 앞 시대의 공시적 기술의 대조를 통해 문법 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서술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품사 변화, 형태 변화, 문장 변화인데, 그 가운데 형태 변화가 주요 대상이다. 형태 변화 연구는 문법 형태인 체언토와 용언토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규명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