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준거틀로 삼아 유엔아동권리협약국가보고서에 나타나는 남북한의 아동권리 내용은 무엇인지, 이런 내용은각 보고서의 작성 시기별로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내용분석법을 통해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협약 제1조 아동의 정의에서 남북한 당국이 연령기준을 어떻게 정하고 있는지, 협약 4대 일반원칙으로 알려진 ‘무차별’, ‘아동 최상의 이익’, ‘생명, 생존, 발달의 보장’, ‘아동 의사존중’에서 남북한의 아동권리를 인식하는 방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북한 모두아동권리 내용에 있어 ‘불균형’적으로 나타났다. 남북한의 ‘특수성’에 따라아동권리 내용의 차이점도 나타난다. 또한 남북한 모두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제출하며 아동권리 이해 수준이 시기별로 ‘발전’하는 면모를 보였다. 남북한은 물리적 통일을 넘어 분단 기간 달라진 사회문화적 통일도 함께 이루어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아동에 대한 인식 역시 아동권리 관점에서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남북한의 아동권리 내용을 이해하고, 통일한국의 아동권리 증진방안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