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놀이참여 및 놀이신념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mediation effects of peer play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play characteristic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children's social skills

상세내역
저자 최창욱, 조혜영
소속 및 직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지 어린이미디어연구
권호사항 15(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5-105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North Korean Refugee Mothers) 놀이참여(play participation) 놀이신념(play beliefs) 또래놀이 상호작용(peer play interaction) 자녀의 사회적 능력(children’s social skills)   #최창욱   #조혜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놀이참여 및 놀이신념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4-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12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놀이참여, 놀이신념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자녀의 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놀이참여 및 놀이신념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자녀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놀이참여 및 놀이신념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또래놀이 상호작용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64.4%의 설명력이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 종합하면,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에게 자녀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놀이방법 및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제공, 놀이에 대한 인식 전환 교육 등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할 필요가 제기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