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일 관련 문법 성취기준 내용 분석 및 교과서 기술 방향

On the Direction of Textbook Description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Grammar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Unifi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상세내역
저자 강보선
소속 및 직함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국어교육학회
학술지 국어교육학연구
권호사항 5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9-192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통일 시대   #통일 시대의 국어   #남북 언어   #남북 언어 차이   #극복 방안   #강보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일 시대의 국어에 관심을 가지는 태도를 지닌다’라는 성취기준의 내용을 성취기준 해설에 4가지로 나누어 살피고 각 내용의 교과서 기술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통일 시대의 국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에서는 ‘통일 시대의 국어’의 범위와 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국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교과서에서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현재의 남북 언어 차이’에서는 남북의 언어 차이가 현재를 기준으로 기술되어야 하며, 남북 언어의 차이를 다룰 때는 전형적 관점, 균형적 관점, 소통적 관점에서 기술해야 함을 밝혔다. ‘통일 과정에서 남북 언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에서는 ‘의사소통의 문제’, ‘남북한 사람들 간의 갈등 문제’, ‘표준 한국어 설정 문제’ 등이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끝으로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서는 ‘국가 수준의 극복 방안’과 ‘학교 수준의 극복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