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동유럽에서의 한국학 교육 현황 (1) - 폴란드의 대학을 중심으로

Korean studies education status at Eastern Europe (1) - Focused on Poland university

상세내역
저자 정현숙
소속 및 직함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발행기관 구보학회
학술지 구보학보
권호사항 (1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51-283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한국학. 한국학과. 한국어교육   #폴란드 대학   #동유럽. 커리큘럼.   #정현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재 폴란드의 대학에서 한국학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세부적인 논점은 한국학과의 설립 과정과 현황, 커리큘럼의 실제와 교재 등이다. 논의 대상은 현재 한국학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바르샤바대학교 (University of Warsaw), 아담미츠키에비츠대학교(University of Adam Mickiewicz), 야길론스키대학교(University of Jagiellonian), 브로와초프대학교(University of Wrocław)이다. 바르샤바 대학교의 한국학과는 폴란드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53년부터 ‘조선어’ 강의를 시작하였고 1983년에 한국어문학 전공과정을 개설하였다. 1994년에는 박사과정도 개설하였고, 2015년 10월부터 일본한국학과에서 한국학과로 완전히 독립하였다.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Adam Mickiewicz University )는 1998년 10월부터 한국어 강좌를 시작하여 2003년 한국어문학과를 개설하였고, 야길론스키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 in Cracow)는 1999년부터 한국어 강좌를 시작하였으며, 브로와초프대학교(University of Wrocław in Wrocław) 는 2010년 10월부터 한국어와 한국문화 강좌를 시작하였다. 바르샤바대학교와 브로와초프대학교의 한국학과는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 문학, 철학, 종교, 예술, 문화, 사회 등의 과목도 가르치고, 아담미츠에비츠대학교와 야길론스키대학교는 한국어강의에 치중한다. 교재는 주로 한국 교수와 폴란드 교수가 함께 쓴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1,2,3 ;Koreański dla Polaków 1,2,3』 과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 문화 30강, Kultura koreańska – wykłady dla polskich studentów』을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폴란드에서 한국학은 북한과의 교류 속에서 전개되었지만, 1989년 폴란드가 한국과 수교를 맺으면서 한국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