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4세대 전쟁 이론의 실효성 분석과 한국 국방의 패러다임 전환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Fourth Generation Warfare Theory and Paradigm Shift of the Korea National Defense

상세내역
저자 윤지원
소속 및 직함 평택대학교
발행기관 육군군사연구소
학술지 군사연구
권호사항 (1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03-426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정보화 시대   #4세대 전쟁 이론   #정규전   #안정화작전   #전영역 작전   #한국군의 적용   #윤지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정보화 시대가 도래되면서 많은 군사이론가들이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신군사 이론들을 제기하였다. 특히 4세대 전쟁이론은 정보화 시대 첨단 과학기술군을 상대로 주체가 다양한 비국가 단체나 조직들이 테러와 시이버공격 등과 같비정규전을 전개한다는 인식 하에 연구되었다. 특히 4세대 전쟁이론은 정보화 시대 미군이 수행했던 아프간과 이라크전 사례를 통해 적용해 볼 수 있다. 미군이 이라크전에서 주전투 승리 이후 안정화작전에 실패한 것은 4세대 전쟁 이론을 적용 및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군은 정보화 기술이 접목된 군사이론은 주전투에서는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주전투가 종료되고, 4세대 전쟁으로 확대된 국면에서 안정화작전 관련 전투수행 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였고, 전쟁이 장기화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은 전영역 작전(full spectrum of operations)이라는 군사이론을 재정립하여 정규전과 4세대 전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전투수행 방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반면 한국군은 현재와 같은 정규전 위주의 군사교리로 전쟁을 수행한다면, 미군처럼 주전투를 승리를 하더라도 4세대 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힘든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군은 정규전에 대한 군사교리 뿐만 아니라 북한에서 급변사태와 통일 대비 수행해야 하는 안정화작전을 포함한 다양한 작전을 할 수 있는 4세대 전쟁이론이나 교리를 발전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 이런 맥락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시대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쟁 수행방법으로 4세대 전쟁을 주장한 린드(William S. Lind)의 주요 이론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안보 환경 변화와 4세대 전쟁이론의 실효성 평가를 분석해보고, 한국군의 적용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