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과 과제

Review of Studies on Korea’s Unification Curriculum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Current Trends and Future Studies

상세내역
저자 송명현, 김두정, 김소영, 이윤소
소속 및 직함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학술지 한국교육문제연구
권호사항 34(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0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통일 교육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   #초·중등 교육과정   #송명현   #김두정   #김소영   #이윤소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제공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 100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론별 준거를 토대로 주제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 시기별 연구 동향은 2000년대 이후로 양적 증가 추이를 보였는데, 특히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와 맞물려 있는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남한의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43.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통일 시기별 연구 동향은 통일 대비 교육과정 연구가 92.0%(그 중 남한 교육과정 80.4%)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법론은 문헌 연구가 9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문헌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89.4%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교과 분석은 도덕, 사회, 국어 순으로 많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의 과제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은 점차 ‘통일 한국(통합적) 교육과정연구’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북한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와 정부 성향 및 통일 정책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에 따라 보다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통일 교육과정에 연계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