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분단 이데올로기와 통일교육

Divided Ideology and Unification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안승대
소속 및 직함 대구미래대학교
발행기관 동아인문학회
학술지 동아인문학
권호사항 (3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33-458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이데올로기   #분단 이데올로기   #생태주의   #통일교육   #안승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이데올로기론을 통하여 남북한의 분단 이데올로기를 분석한 후, 통일 이데올로기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데올로기는 부정적 의미로 많이 쓰이며, 이 때 이데올로기는 허위의식을 뜻한다. 중립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가치체계·신념체계의 의미로 쓰이며, 긍정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구성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행동으로 이끌어 주는 세계관을 뜻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을 유지하는 허의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이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통일 민족국가의 좌절감을 분단 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치환함으로써 국민/인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심리적 차원의 카타르시스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 권력에 열광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행동적 차원의 동원·동기화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또한 반공/반제의 강조와 체제경쟁을 통해 국민/인민을 사회적 차원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마지막으로 분단 이데올로기는 지배 권력의 차원에서 보면, 분단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허위의식을 조장하고 은폐·왜곡하는 기능을 해 왔다. 통일교육은 분단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통일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교육을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통일 이데올로기는 통일과 통합을 지향하는 사상과 이데올로기, 즉 생태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통일 이데올로기로서 생태주의는 큰 자아인 민족과 이웃,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며, 생명과 평화를 지향하는 안보 즉 생태적 안보를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통일 이데올로기 형성을 통해 구성원의 의식을 개혁하고, 통일시민으로 형성해 나가는 적극적 변혁의 과정, 그람시의 유기적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이어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