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체조 도마 종목 Ri Se Gwang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Ri Se Gwang Motion in Vault

상세내역
저자 송주호, 박종훈
소속 및 직함 한국스포츠개발원
발행기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학술지 체육과학연구
권호사항 27(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44-655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체공시간   #체공높이   #이륙   #공중회전   #비틀기   #송주호   #박종훈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기계체조 도마 결승에서 북한의 리세광 선수가 연기한 Ri Se Gwang 기술(요소그룹Ⅱ, 난이도 6.4점, 손 짚고 옆 돌아 몸 굽혀 뒤 공중 두 바퀴 돌며 1/1 턴 동작)의 운동 특성을 파악하여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갖추는데 있다. 이를 위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Ri Se Gwang 동작은 기술의 성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 2비약의 체공시간이 1.07초, 체공높이는 2.91 m로 나타났으며, 도마 이륙 시 수평속도는 2.73 m/s, 수직속도는 3.87 m/s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 완수를 위한 충분한 도약운동이었으나 선행연구결과인 Yeo 동작과 YANG Hak Seon 2 동작에 비해 제 2비약 시 수직중심으로 왜소한 공중 비행운동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Ri Se Gwang 동작은 도마 손 짚기의 블로킹각을 9도로 작게 형성하고 도마 이륙각 또한 79도로 매우 낮게 나타냈으나 구름판 이륙순간부터 도마에 접근할 때까지 상체를 빠르게 숙여주어 도마 손 짚기 국면에서 평균 신체의 회전속도를 545 deg./s로 빠르게 유발하였고, 이 영향으로 도마 이륙 시 신체 회전속도를 452deg./s로 빠르게 유지하여 도마 이륙 후 큰 무리 없이 공중회전운동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준비국면에서 Ri Se Gwang 동작은 도마 접근 시 상체를 빠르게 숙여서 강한 블로킹을 시도하고 수직중심의 공중비행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공중회전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공중 회전력 강화를 위한 뒤 허벅지 잡아채기와 비틀기 운동의 조절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2비약의 체공높이가 3 m 만 된다면 보다 여유로운 공중회전운동으로 착지 시 충분한 착지각과 비틀기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