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motional Empath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 The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상세내역
저자 권정윤, 조혜영
소속 및 직함 성신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학술지 유아교육학논집
권호사항 20(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31-552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정서조절 능력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긍정적 정서표현   #매개효과   #권정윤   #조혜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09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 능력, 긍정적 정서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Pearson의 상관관계와 경로모형분석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및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은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긍정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 정서표현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발달을 위한 부모 양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