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에서 “통일은 대박”이라는 발언이 나온 이후, 통일에 관한 관심이 다시금 고조되었다.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통일 담론은 ‘왜’보다는 ‘어떻게’ 라는 질문을 다루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의 유형들과 발전에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두 개의 상이한 시각 즉 역사적 시각과 주체별 시각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통일담론이 기독교 통일담론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요약코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과거에는 통일국가의 전통과 건국의 숙원, 현재에는 정전 이후 평화와 통일, 미래에는 강대국의 염원 등이 중요한 주제였다. 이런 다양한 입장은 역사성, 정통성, 현실성, 실용성과 연관되었다. 둘째, 주체별 접근을 시도하면서, 개인, 사회, 국가, 국제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개인에 있어서는 이주의 자유, 현재진행형의 분단 상황, 해외한인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에 있어서는 분단, 민주화, 통일, 세대차와 통일인식, 단일민족 대 다민족, 통일의 꿈과 번영의 꿈(코리안 드림) 등을 살펴보았다. 국가에 있어서는 전쟁과 정전, 안보와 경제발전, 문화통합비용, 정부와 민간의 공조 등을 살펴보았다. 국제사회에 있어서는냉전의 종식, 한국 이해의 파행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통일담론이 기독교통일담론에 대하여 지니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독교가 통일담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역사적이유, 선교적 이유, 교회적 이유의 분류를 통하여, 기독교의 중심지와 기독교의 단절, 기독교 재부흥, 교회일치와 사회일치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이 한국의 통일담론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일치의 신학, 재건의신학, 만민의 신학, 공공의 신학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은 고유한 목소리를 통하여, 또한 다른 목소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예언적 목소리를 통하여 한국의 통일담론에 참여할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