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접경된 해항도시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를 중심으로

Political Economy and External Negotiations of Seaport Cities on Border Line: Focused on Changjitu and Nasun Port in Northeast Asia.

상세내역
저자 우양호, 이원일
소속 및 직함 한국해양대학교
발행기관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학술지 해항도시문화교섭학
권호사항 (1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13-240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접경지역   #창지투(長吉圖) 선도구   #나선특구   #초국경 개발   #경제협력   #우양호   #이원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금 동북아시아에서 동해(東海)에 접경된 해항도시로서 핵심적 의미를 갖는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구를 둘러싼 국내 및 인접국가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상황을 분석하려 한다. 지난 2009년 중국은 두만강 주변 북․중 접경지역에 이른바 ‘창지투(長吉圖) 선도구 개발’을 선언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북한은 ‘나선(나진․선봉) 특구 개발’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이 두만강 접경지역인 창춘~지린~투먼~훈춘을 전진기지로 삼고, 북한의 나진항과 선봉항의 사용권을 얻어내어 환동해권으로 네트워크 확장을 기도한 하나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창지투 선도구와 나선특구는 각각 동북아시아의 경제협력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제정치질서 및 세력 재편의 무대로 부상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대북정책과 동북아시아의 미래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창지투와 나선지역이 가진 이러한 변경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한반도와 환동해권의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점, 동북아시아의 주변부에서 새로운 중심부로 떠오를 가능성을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