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통일 후 효과적 전도의 도구로서 민족의 애가 아리랑의 사용방안 연구

A Study on Using Arirang as an Effective Evangelistic Tool after Re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김은희
소속 및 직함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학술지 성경과 신학
권호사항 7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97-312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평화통일. 아리랑. 곡조(곡명). 민족의 애가. 아리랑 환상곡   #김은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연구자는 평화통일과 화해를 위하여 남북이 함께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는 음악을 고민하며 연구하던 중 8,000만 민족의 애가인, 아리랑 곡조(Hymn Tune)에 의한 아리랑(Arirang) 찬송을 작시한 바 있다. 아울러 아리랑 오르간 환상곡(Arirang Organ Fantasy)연주와 아리랑 찬송가를 통하여 ‘평화통일과 화 해’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아리랑(Beautiful Daring)은 민족의 애가(哀歌)이 며 통일 조국이 함께 부를 민족의 애가이므로 비록 지난 70년간 사상과 이 념이 다른 체제 속에서 살아왔지만 우리가 한 민족이며, 한 동포임을 확인하 게 해주는 곡이기 때문이다. 해외 동포와 교회, 심지어 세계교회까지 한반도 의 평화통일을 위해 오랫동안 염원해 왔던 기도가 아리랑찬송을 통해 이루 어지길 소망하며, 통일 후 민족의 애가, 아리랑을 통하여 주체사상으로 의식 화 되어있는 북한주민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소개하는 도구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