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분석(1993~2016.7)

The Trend of Multi-cultural Counseling Studies in South Korea: Analysis of Academic Journal and Thesis(1993 ~ 2016.7)

상세내역
저자 최미, 오은경, 최한나
소속 및 직함 숙명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상담학회
학술지 상담학연구
권호사항 17(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23-242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다문화 상담   #다문화 상담 연구   #연구동향   #최미   #오은경   #최한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16년 7월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다문화 상담 연구 총 380편을 연구년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다문화 상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연구년도 측면에서는 최근으로 올수록 다문화 상담 연구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 면에서 볼 때, 상담성과 연구, 성격특성과 적응 연구, 사례 및 조사 연구, 개관연구, 상담과정과 성과 연구 순으로 게재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국제 결혼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의 62.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방법 면에서는 양적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전체의 54.2%를 차지하였다. 다문화 상담 연구의 연구년도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교차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면에서 결혼이민자들 뿐 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6.1%), 연구주제 면에서는 성격특성과 적응(19.7%), 사례 및 조사(15.5%), 연구방법 면에서는 질적연구방법(30.5%), 양․질적 혼합연구방법(15.3%)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의 대상과 연구주제에 있어 보다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문화 상담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