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기초로서 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포함되어왔다.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 제정된 이래 8번의 개정을 거쳐왔다. 본 연구는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유아의 통일교육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통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현행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까지의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문서, 교육과정 해설서, 그리고 교사용지도서 등에 나타난 통일교육 관련 목표, 내용, 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유치원의 통일교육은 반공교육에서 통일안보교육, 그리고 통일교육으로의 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부터 제 3차 교육과정까지 통일교육은 북한 및 공산주의에 대한 적대감과 반공통일을 강조하는 ‘반공교육’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구체적 활동들 또한 북한의 위협과 북한 주민들의 비참한 생활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4차 교육과정에서의 통일교육은 북한을 경계해야 할 대상이자 언젠가는 함께 할 대상으로 보는 ‘통일안보교육’의 성격을 띈 것이었다. 용어 또한 ‘반공’대신 ‘평화통일’이 사용되었다. 목적과 내용상으로는 분단 현실을 강조하였으나 실제 활동에서는 북한에 대한 적개심과 경계를 담고 있는 것들이 포함되었다. 5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누리과정에 이르기까지 통일교육은 민족공동체로서의 북한에 대한 이해와 평화통일을 강조하는 ‘통일교육’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고시 교육과정의 사회관련 영역의 하위 내용 또는 세부내용에 포함되었던 통일과 북한 관련 내용이 누리과정에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에 통일 교육에 대한 내용의 명시를 비롯하여 유아 통일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