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SWOT 분석을 통한 중국 칭다오(靑島)시 도시개발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 도시산업개발과 관광개발을 중심으로

Policy Implications and Urban Development at Qingdao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SWOT: Focused on Urban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Tourism Development

상세내역
저자 오은열, 정봉현
소속 및 직함 성결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권호사항 28(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5-208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도시개발   #관광개발   #SWOT   #중국 칭다오 도시   #오은열   #정봉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대의 공존이 교차하고 있는 중국 칭다오(靑島)시의 급변하고 있는 국제적 환경변화에 있어 도시산업개발과 관광산업개발의 두 가지 축을 통해 도시개발의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내·외부 환경요인을 통해 SWOT 방법으로 분석하여 도시개발 전략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강점(S)을 가지고 기회(O)를 살리는 공격적 전략(SO)을 모색하였다. 이는 도시개발 사업인 칭다오 혁신산업단지를 개발 및 공동 육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칭다오 관광역사를 통해 관광거점화 전략이 요구된다. 둘째, 강점(S)을 가지고 위협(T)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 다양화전략(ST)을 도출하였다. 다양화전략으로 칭다오 자매도시간(한국) 新해양산업개발에 따른 칭다오 블루 실리콘밸리 산업개발이 모색됐으며, 관광개발측면에서 보존·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관광신규개발도 필요하다는 점이 대두되었다. 셋째, 약점(W)을 보완하여 기회(O)를 살리는 개발방향 전환 전략(WO)을 파악하였다. 여기에는 육상 및 해상교통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리는 방향으로 전략이 도출되었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전략이다. 이를 통해 관광네트워크가 원활하게 형성되어 환황해관광권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며, 미시적인 측면에서는 남·북한 경협활성화를 통해 사업확대 및 교류증진으로 지리적 위치의 근접성과 이동성을 이용한 도시개발 방향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약점(W)과 위협(T) 분석을 활용한 전략으로 방어적 전략(WT)을 제시하였다. 이는 주요 도시간 이벤트와 같은 핵심산업개발에 대해 공동 개최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변 배후지 개발과 같은 여건을 동반할 수 있다. 외부 사업시행자(기업가)에게는 복수비자발급과 같은 까다로운 제도를 보다 더 유연성을 발휘함으로써 상생협력이 촉진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