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다문화집단(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자녀, 외국인노동자)에 대해 지니는 태도 및 다문화집단 구성원들에 대해 지니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북한이탈주민 27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연령별 태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접촉의 효과는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태도가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태도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집단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삶의 만족도와 한민족정체성이 산출된 반면,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현실갈등인식과 차별감이, 연민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차별감이, 그리고 사회적 거리감의 경우 집단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들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지니는 태도는 대상마다, 그리고 태도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 태도의 차원이 일차원이 아니라 다차원적임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attitude to multicultual group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273 North Korean defector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al groups including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and the foreign laborers in South Korea,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Korean identity,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rong effect of sex and age, the effect of contact appeared partially in the factors of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and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The attitudes toward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and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were better than foreign laborers.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and Korean identity were found to have a major effect on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groups, negative attitude was affected by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feeling of pity was affected by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tance was affected by multiple factors depending on the sub-group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