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6 ․ 25전쟁 이전 북한 내무성의 조직과 간부

The Organization and Officers of the North Korean Ministry of Home Affairs, 1948~1950

상세내역
저자 김선호
소속 및 직함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학술지 동북아연구
권호사항 3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3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 경찰   #내무군   #인민군   #내무서   #조선의용군   #동북항일연군   #당=국가체제   #박일우   #김선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 내무성의 중앙부서는 1949-1950년 당시에 6개 국과 약 180개의 처․ 부․과로 구성되었다. 내무성은 북조선인민위원회 내무국에 비해 지방 단위에서경비․보안․정보․사찰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와 인원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지방의 사회․주민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강화했다. 내무성은 내무국에 비해 조직을 3배 이상 확대하고 중앙부터 지방까지 내무기관을 촘촘히 설치함으로써 북한의 전체지역을 통제할 수 있었고 사회 영역에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한 내무성은 치안유지, 주민생활, 사회안전, 정보․사찰 등에 관한 산하부서를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조직함으로써 국내외의 위협과 혼란으로부터 신생 정부를 안전하게 보위하고 주민들을 치밀하게 관리하고 통제했다. 내무성의 중앙간부는 내무상 박일우를 비롯해 72명이 확인된다. 각 정치세력의 비율을 보면 내무성 중앙은 조선의용군 출신과 고려인이 양분하고 있었고 동북항일연군 출신과 국내공산주의자가 일부 진출해 있었다. 조선의용군 출신은 내무성 전체의 지휘권과 내무군․정치사상사업․군수부문․사법부문의 책임자를 맡았으며, 고려인은 북한지역의치안․주민생활부문과 정보․사찰부문, 내무성 검찰부문의 책임자를 맡았다. 그리고북한의 정치세력은 인민군과 내무군을 각각 항일연군 출신과 의용군 출신에게책임지우는 역할분담을 통해 무력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달성했다. 내무성은 간부들의 사회계급․근무경력․정치성을 간부정책의 기준으로 삼았고, 근로계급으로서내무기관에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노동당과 북한정부에 우호적인 정치적 입장을가진 간부를 적극적으로 기용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내무성의 설립과 조직체계
Ⅲ. 중앙간부의 구성과 정치세력 분포
Ⅳ. 내무성의 간부정책과 간부충원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