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재일조선인의 문화단체와 문화활동 -1960년 전후의 『민주신문』을 중심으로-

Cultural activities of Zainichi Korean :Focusing on “Mindan News” around 1960

상세내역
저자 오은영
소속 및 직함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발행기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 서강인문논총
권호사항 7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9-219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민단   #민주신문   #총련   #최선(崔鮮)   #김파우(金坡禹)   #오은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50년대, 1960년대의 재일조선인의 기관지를 보면 재일조선인의 문화활동은 총련계가 압도적으로 활발했다. 이에 반해 민단계의 문화활동은 미미했다. 그 원인은 민단의 조직력, 지도력이 약한 상황에서 문화단체를 형성하기 어려웠고 기관지 민주신문 의 문화면 역시 내용이 부실할 수밖에 없었다. 민주신문은 대부분 재일조선인 사회속에서 활동하는 문화인(예술가)의 활동보다는 조선, 한국의 문화를 전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총련 기관지(紙)처럼 신문을 활용하여 ‘조선어’를 배우거나 예술분야의 신인양성을 하는 모습은 없었다. 1960년에 한국의 ‘4・19’, 북한의 ‘남북연방제’ 제안 등으로 민단은 크게 동요했었고‘5・16 쿠데타’가 일어날 무렵에는 민단 단장도 바뀌어 민단계의 유일한 문화단체와도대립하게 된다. 또 이 무렵 이례적으로 총련, 민단을 불문하고 문화인이 모여 합동문화제를 개최한 데에 민단의 지도층은 강한 불만을 표시한다. 이로 인해 총련 기관지나 중립입장의 통일조선신문에는 합동문화제에 대해 기사가 실리지만 민단의 기관지에는관련기사가 게재되지 않았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조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면서 1961년 전후에 유일하다고 할 수가 있는 김파우의 작품이 민주신문에 연재된다. 하지만 이후 재일조선인에 의한 작품이 아닌 일본인 작가나 한국에서 발표된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해서 연재되다가 이마저도 이어가지 못하고 작가를 양성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에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민단과 기관지 ⺠主新聞의 변화 과정
3. 민단계의 문화단체
4. 민단과 동인지 ⽩葉의 대립
5. 민주신문의 문화면
6.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