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은 규범 언어를 잘 아는 것을 넘어서서 규범 언어의 변화 가능성을 인지하고 규범 언어에 대해 유연한 시각을 확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어문 규범 교육의 목표하에서 남북한 맞춤법을 교육 제재로 활용할 때 학습자들이 규범 언어에 대해 유연한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남북한 맞춤법이 지닌 각각의 가치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문법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맞춤법을 비교․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구안하였다. 남북한 맞춤법은 음소적 표기법과 형태 음소적 표기법이라는 한글의 표기원리를 공유하나 운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교육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쟁점 조항들을 비교․분석하고 교육 내용의 일단으로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We teach standard language of pronunciation and orthography in grammar education. However, we set the goal at not only using standard language correctly but also having flexible perspective that the standard language can be changed. I agree with this point of view, and try to demonstrate that the different spelling South and North Korea use can help students develop this kind of awareness. To this end, I compared South Korea’s clauses of orthographic rules with those North Korea have, and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oint is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ellings are derived from the different applications of phonemic or morphophonemic orthography to same environments. Therefore, I analyzed and selected clauses that can show conditions that the two major principles of orthography are applied to differently in South and North. Finally, I constructed educational contents which can be performed at a classroom.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