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

Trends in the Studies of Goguryeo History in Korea since the 2000s

상세내역
저자 이준성
소속 및 직함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지 고구려발해연구
권호사항 7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7-59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고구려사   #워드클라우드   #동북공정   #연구환경   #이준성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00년대 이후 고구려사 연구는 한국고대사 중 ‘가장 큰 변화상을 보인 분야’로 평가받는다. 『삼국사기』 초기기사에 대한 적극적 활용을 통해 새로운 연구 방향과 방법이 모색되고, 북한과 중국의 고고학 조사 성과가 늘어나면서 보다 구체적인 역사상을 제시하는 연구가 가능해진 점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뿐만 아니라2002년부터 중국이 추진한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 과정, 그리고 2004년 중국과 북한에서 각각 고구려 유적을UNESCO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고조된 관심 등 외부적인 요인 역시 고구려 관련 연구 성과가 양적ㆍ질적으로 성장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해당 기간 한국 학계에서 생산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박사학위논문은 52편, 석사학위논문 159 편이 제출되었으며, 단행본 270권과 학술지 논문 1,186편이 발표되는 등 총 2,300여 편(권)에 달한다. 특히주제별로 ‘연구사 검토’를 진행한 논문만도 40편이 넘는다는 사실을 통해 이시기 활성화된 고구려사 연구의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사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따라가며 정리하는 작업을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직관적인 워드클라우드 방식을 통해 분야별(문헌사, 고고학등), 연구 대상 시기별(초기, 중기, 후기 등) 핵심 키워드가 무엇이었는지 제시하였다. 아울러 향후 고구려사 연구가 한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 일국사적 시각을 넘어 여러 층위에서 고구려사를구상하는 입체적인 시도가 꾸준히 늘어야 함과 함께, 주변학문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그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을 훈련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석ㆍ박사 학위논문 동향
Ⅲ. 단행본, 학회지 논문 및 학술회의 동향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 고구려사 연구 환경의 변
화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