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문법서;<조선어학전서>󰡔조선어기능문법󰡕(2013) 연구 - 제1편 기능문법에 대한 일반적리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orth Korean grammar reference;Choseoneokineungmunbeop(2013) - Focused on part 1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grammar’ -

상세내역
저자 김건희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한말연구학회
학술지 한말연구
권호사항 65(2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7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조선어기능문법   #체계기능문법   #표현론적 접근   #형태   #의미   #기능   #화자   #김건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05년 전체 47권으로 구성된 북한의 대표적인 문법 총서 전집이 발행되고, 이 후 8년 후인 2013년에 48권이 발간되었는데, 조선어기능문법은 바로 제48권이 다. 특히 조선어기능문법 머리말에서는 북한의 기능문법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하였지만, 조선 어를 연구대상으로 한 기능문법은 아직 한권의 도서나 한편의 연구논문도 나오지 못하였다고 서술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선어기능문법은 기능문법을 토대로 한 최초의 북한 저서(단행본)으로서, 이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북한의 언어연구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어기능문법의 일반론을 소개하고 기능문법의 주요 개념 ‘의미, 형 태’의 기술 방향과 관련된 최근 남한 문법 연구와 대비하며 살펴보겠다. 최근 남한에서도 ‘의미에 서 형식으로 나아가는 기술인 표현론적 접근1)이 대두되고 있고, 의미와 형태에 관한 새로운 기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체계기능언어학이 주목받고 이에 대한 일련의 논의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1. 서론
2. 조선어기능문법(2013)의 제1편 개관 및 본고의 목차 설정
3. 북한 기능문법의 기본적 특징
4. 북한 기능문법의 ‘형태, 의미’, ‘수단, 기능’ 5. 조선어기능문법(2013)의 연구 방향성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