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의 사회적응 유형과 유형 예측요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Classes and Predictors of Social Adaptation among Married North Korean Refugee Women: Latent Profile Analysis

상세내역
저자 김희진;김혜진
소속 및 직함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국제지역연구원
학술지 아태연구
권호사항 3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3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여성   #사회적응   #사회적응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   #사람 중심 접근법   #김희진   #김혜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방법을 통해 남한에서의 사회적응의 유형들을 도출하고;각 사회적 적응 유형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예측하는 것이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은 특정 변수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 집단 내 이질적 하위집단을 구별해 내어 유형화하는 연구방법이다. 즉 본 연구는 지금까지 대부분 선행연구들이 택하였던 변인 중심적 접근을 벗어나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사람 중심의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에 거주하는(주로 서울과 경기도) 20~70대의 북한이탈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응의 양상에 따라 분류된 세 유형은 사회적응의 전 영역에서 높은 적응 수준을 보이는 ‘안정형(27.0%)’;사회적 교류에서 우호적인 ‘우호형(42.5%)’;사회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한형(30.5%)’이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적응 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안정형과 비교시 ‘우호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요인은 연령;사회적 차별인지였고;안정형과 비교시 ‘제한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요인은 연령;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차별인지;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기혼여성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논의와 대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