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핵 리스크 관리와 ‘국제안보레짐’의 변용 ― 한미일 ‘연계정치’ 및 정책조정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North Korea's Nuclear Risk Manag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Regime’: Focusing on Korea-U.S.-Japan ‘Linked Politics’ and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s

상세내역
저자 김영근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일본학회
학술지 일본학보
권호사항 14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68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핵 리스크 관리   #특정적 상호주의   #국제안보레짐   #연계정치   #억지이론   #정책전환   #김영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한미일 ‘연계정치’ 및 정책조정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북핵 리스크 관리와 ‘국제안보레짐’의 변용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북한 리스크에 관한 정책협력 및 대립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우선 북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다자주의 vs. 양자주의 및 ‘햇볕정책’ vs. ‘강경정책’ 중 어떠한 옵션(선택지)을 지지하는지 해부한다. 나아가 한미일 3국이 연계정치를 통해 지불하려는 비용과 창출하려는 편익에 관한 담론을 점검하고 정책결과에 관해 분석한다. 제1장(서론)은 글로벌 안보레짐의 변용에 관해 개관하고;북핵 리스크 관리를 위한 ‘억지이론’과 ‘연계정치’라는 분석틀을 소개한다. 제2장에서 ‘안보레짐’과 북일수교 외교사를 정리하고;제3장에서 사례분석을 통해 북핵 재난 관리 및 정책조정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제4장은 결론으로 북핵 리스크 관리를 둘러싼 한미일 3국의 대북정책은 상호주의의 성격 및 연계정치가 작동될 경우;글로벌 안보레짐에도 유용(유익)하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한국의 대북정책은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가 실시해 온 ‘호혜적 상호주의’가 이명박-박근혜-윤석열 정부에서는 조건적・특정적 상호주의로 변화되었다. 한편 일본(자민당) 정치는 특정적 상호주의 기조의 대북강경 정책을 전개해 왔다. 둘째;한미일의 대북정책 변화;특히 ‘특혜적 상호주의’라는 대북 강경정책의 실시는 결과적으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과 경제적 불안 상황과 연동되었으며;오히려 미국과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한국과 일본;나아가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그 정책귀결 분석에 따르면;미국과의 동조된 ‘특정적 상호주의(=핵억지이론)’보다는 ‘호혜적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한 대북정책일 때 효과가 가장 크다는 점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