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1950년대 북한의 철강공업 복구와 소련의 지원 - 식민지 생산구조의 극복 과정을 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Steel Industry and Soviet Union's support in 1950s -How they overcome the colonial legacy in industrial production-

상세내역
저자 이주호
소속 및 직함 국사편찬위원회
발행기관 효원사학회
학술지 역사와 세계
권호사항 6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7-100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철강공업   #북소관계   #경제원조   #전후 복구   #일관제철소   #이주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50년대 전후 복구기 북한의 공업화 전략에 대한 갈등은 북한 지도부 내에서;그리고 주요 경제원조 공여국인 소련과 북한 사이에서 이중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갈등은 식민지 경제유산의 구조적 특질을 극복하는 문제와 연동되어 있었다. 문제는 복구의 기준을 어디에 둘 것인가였다. 전후 복구의 목표를 전쟁 이전 수준 그대로 복구하는 것에서 멈출 것이지;혹은 식민지 산업구조의 불균형성을 극복하는 수준까지 나아갈 것인지 선택해야 했다. 이것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가 철강공업이었다. 1950년대 철강공업 정책의 기조는 식민지 경제유산의 구조적 특질을 극복하고 변화된 북한의 사회경제적 필요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키는 방향이었다. 북한은 철강공업 복구에 소련의 무상원조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소련은 북한의 계획에 응하지 않았다. 북한의 급진적 공업화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철강 제품 국산화를 위하여 북한은 독자적으로 황해제철소의 일관제철소 복구를 끝내고;김책제철소 제선시설 복구를 완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까지 북한의 철강공업은 식민지기 생산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복구에서 육성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소련의 설비와 기술지원이 필요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식민지 철강생산 구조의 연장
Ⅲ. 원상 복구에도 부족한 무상원조 사용
Ⅳ. 자력 동원과 신규 생산시설 도입 추진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