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 문화 소통을 위한 북한지역 상장례의 Visual-DB화 방안

Approach to Visual-DB Utilization for North Korean Rites of Life for Inter-Korean Cultural Communication

상세내역
저자 남경우
소속 및 직함 경상국립대학교
발행기관 인문학연구원
학술지 통일인문학
권호사항 9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3-164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상장례   #북한민속   #Visual-DB   #일생의례   #남북소통   #남경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49~1968년 북한민속조사자료󰡕는 기존 민속자료의 문화권별/시기별 공백을 채울 수 있는 자료이며 본 연구에서 이를 바탕으로 시도하는 Visual-DB화는 미시사적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중요한 것은 통일을 전제한 통일문화 방안 연구의 자료이자 도구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이다. 기존 북한 민속자료의 방대한 성과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북한 민속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남북의 민속문화를 이해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며;북한 생활문화의 변화 과정과 실태 파악을 위한 미시사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정리 및 분석하는 도구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북한의 상장례는 관의 주도로 여러 절차를 배제하고자 했으나;실제로 북한 주민이 실행했던 상장례에는 유교적이거나 미신적인 것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북한 사회에서 주민들이 이러한 것들을 추구했다는 점이 아니라;국가의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의도와 다른 주민들의 상장례 풍습이 유지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북 주민이 교류할 수 있는 지점이 생활문화 속에서 발견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이 연구에서 다룬 󰡔1949~1968년 북한민속조사자료󰡕와 Visual-DB 형태가 단순한 민속자료와 연구 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남북의 상호간 이해와 소통에 있어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남한의 상장례 문화가 변화하는 것과 같이 북한의 상장례 문화 또한 변화를 겪고 있다.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과 공시적 관점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Visual-DB는 두 가지 시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도구라 할 수 있다. 문화권별 차이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차이까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화와 문화 변화의 ‘이해’에 적합한 형태의 연구 방법이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남북한 문화의 공통성을 발굴하여 정서적 공감대를 마련하고;차이점에서는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 연유를 밝히며 이해의 장을 넓히고;이질감에서 오는 적대감을 상쇄시키고 서로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들 마련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1949~1968 � 년 북한민속조사자료 의 개관과 특징 �
2.1. 1949~1968 기존의 연구와 년 북한민속조사자료 의 성격 � �
2.2. 1949~1968 � 년 북한민속조사자료 의 특징 �
3. 1949~1968 � 년 북한민속조사자료 에 나타난 상장례 �
Visual-DB화 과정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