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의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수도권의 집중 정착 단지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 Study on Concentrated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상세내역
저자 최고운정, 박인권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권호사항 3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3-17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지역공동체의식   #이주민의 문화적응   #주거환경   #최고운정   #박인권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위해 이들의 지역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이주민으로 이들이 취하는 문화적응전략이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북한이탈주민의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고;북한이탈주민이 이주민으로서 선택하는 문화적응전략이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공원;산책로와 같은 야외시설의 이용;지역 내에서 남북주민이 함께하는 단체활동의 참여;길찾기쉬운구조 및 쾌적성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거주하는 주택의 내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지역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남한의 문화를 수용하는 통합의 문화적응전략을 취하는 것이;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를 통해;북한이탈주민의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해서 이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일반주민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시설과 공간이 필요하고;북한이탈주민에게 필요한 정보의 공유와 정서적 지원을 위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며 남북주민이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활동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주거내부와 근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 시에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