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남북통일과 중국의 영토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중국의 영토 근본주의, 중화민족이라는 정체성 만들기, 역사왜곡을 중심으로 에드워드 기번(Edward Gibbon)은 1776년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로마의 쇠퇴는 무절제했던 위대함이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번영은 무르익으면 쇠락하는 게 원칙이며, 정복한 범위가 넓을수록 몰락할 원인은 배가 된다. 시간 혹은 우연이 부자연스러운 지지를 거두는 순간 거대한 조직체는 자신의 무게에 굴복하고 만다”. 넓은 국토는 축복이다. 하지만 관리의 측면에서는 그렇지 못할 때가 있다. 현재의 중국이 처한 위기이다. 미국을 보자. 수많은 민족이 모여 미국인을 형성한다. 하지만 미국민족을 형성할 수는 없다. 미국은 다민족국가이지만 분열될 위험은 낮다. 중국은 55개 소수민족과 한족, 56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국민이라는 개념은 가능하나 중국민족이라는 개념은 가능하지 않다. 중국도 알고 있다. 하지만 중국에서 소수민족의 거주지는 국토의 약 65%이다. 따라서 중국은 통일된 영토를 유지하여야만 존속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역사왜곡과 민족주의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역사적으로 동북아시아에서 북방민족이 강해지면 남쪽으로 침략해갔고, 한족이 강해지면 북쪽으로 침략해 왔다. 동북아시아 역사의 불변의 진리이다. 5호 16국 시대도 있었고, 수(隨)나라와 당(唐)나라의 왕가는 북방민족인 선비(鮮卑)족 계통이고, 원(元)나라와 청(淸)나라는 북방민족의 정복왕조이다. 중국 역사에서 한족의 왕조는 한(漢)나라와 명(明)나라 정도이다. 중국의 한반도정책은 전통적으로 ‘북한 완충지대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북한을 통하여 미국 등 해양세력을 막는다는 지정학적 논리이다. 또 북한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완중지대 역할도 한다. 중국에게는 현재의 한반도의 분단상황이 유리하다. 중국은 북한이라는 존재가 있어 남한에 대하여 유리한 입장을 점할 경우가 많다. 또 북한이 자본주의 체제와 중국이라는 사회주의 체제 사이의 완충지대 역할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은 한반도의 분단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중국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여기면서 북한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는 선에서 지원하여 왔다. 따라서 중국은 북한의 급격한 붕괴도 바라지 않지만, 대한민국(남한) 주도의 통일은 더더욱 바라지 않는다. 특히 통일 한국이 중국과 대립하는 미국의 편에 선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싫은 상황일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