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핵정책 법제화와 핵무기 선제사용 가능성 평가

NK's New Nuclear Doctrine and Implication

상세내역
저자 이호령
소속 및 직함 한국국방연구원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학술지 한국국가전략
권호사항 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5-61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핵보유법   #핵무력정책법   #제2의임무   #선제핵공격   #전술핵   #이호령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고도화는 8차 당대회에서 ‘국가 핵무력 건설 대업 완성’ 채택 후 한층 더 빠른 질적 변화를 보여왔다. 북한의 이러한 추이를 고려해 볼 때, 2013년 핵보유법을 대체한 2022년 9월 핵무력 정책법 채택이 향후 북한의 핵전력 운용과 핵태세에 미칠 영향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2022년 9월 핵무력정책법과 2013년 4월 핵보유법 비교를 통해서 두 법안의 지속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북한이 새로운 핵무력정책법을 통해 무엇을 추구하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특히, 첫째, 북한 핵독트린의 변화가 북한의 핵전략과 핵태세에 미치는 영향, 둘째, 북한의 핵전략과 핵태세 변화가 남북간 억지 균형점에 미치는 영향 및 북한이 감내할 비용문제, 셋째, 북한 핵무력의 ‘제2의 임무’ 가능 조건과 현실성 여부 문제, 넷째, 북한 핵태세 강화가 한국군과 한미동맹의 대비태세에 미칠 영향과 상쇄 방안 등의 해법을 찾고자 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