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의 영향력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 동시에 정치와 결합 된 신화는 왜곡된다. 북한은 1994년 사망한 김일성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인간이 죽음의 실존적 한계를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신과 유사한 신적 존재, 즉 신화가 되는 것이다. 유물론 사회주의 국가에서 영생(永生)을 논하고 불멸의 신학적 담론이 공공연히말해진다. 역사가 신화가 되었고, 김일성 카리스마의 집요한 관성은 북한체제 내구력의 숨겨진 기제로 기능한다. 김정일과 김정은은 끝내 김일성의 카리스마를 극복할수 없었다. 그러므로 북한은 여전히 김일성에 의존하는 정치체제다. 생존 시 기획된김일성 우상화 사업은 김일성 사망 후 신화창조과업으로 한층 강화된다. 여기에 ‘김일성 민족,’ ‘김일성 유훈’이라는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한 후 내부 신념으로 구조화가 시도된다. 신화가 확대 재생산되고, 김일성을 경험하지 못한 북한의 미래 세대에게 김일성 신화가 주입되고 있다. 이 상황은 신화적 담론, 뮈토스가 무미건조한 로고스를 풍부하게 만드는 순기능(順機能) 현상이 아닌, 정신의 자율성과 인간 지성을무시하는 정신적 폭력과 다름없다. 결론적으로 기독교와 불교 등 종교를 박멸(撲滅) 한 사회주의 북한은 역설적으로 오늘도 신화에 기대어 권력의 생존을 도모하고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