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남한 동해안에 유입된 북한 생활쓰레기로부터 시작된다. 그동안 북한 쓰레기가 남한에 유입된다는 사실은 해양쓰레기 실태조사 관련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환동해권 해양쓰레기 유입 등에 관한 연구에서도 주로 한국과 일본, 극동러시아 등의 유입 현황에 관한 연구는 있지만, 북한은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해양학 관점이 아닌 북한학 관점에서 남한 해안에 유입된 북한 쓰레기 문제를 다루었다. 북한 생활쓰레기 중 상품포장지는 직접적으로 북한 상품 생산 현황과 브랜드 등을 알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북한 내 경제 상황과 상품 유통 지역망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동해안 지역에서 수거한 북한제품 포장지를 살펴보면 대부분 생산공장은 평양으로 표기되었다. 이를 통해 평양에서 생산한 제품이 동해안 지역으로 유통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해안 지역은 북한을 대표하는 대도시인 원산, 청진, 함흥, 라선 등이 있는데, 실제로 상품포장지에는 이 지역 생산공장이 표기되는 사례도 있었다. 김정은 집권 이후 매년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디자인전시회를 개최할 만큼 산업미술을 강조하는데, 특히 상품의 고유한 특징을 표현하는 상표도안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주요 도시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심으로 같은 품목이지만 공장별로 어떻게 상표도안이 다른지 살펴봤다. 북한 쓰레기에 대한 북한학적 시각과 해양학적 시각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남한에 유입되는 북한 생활쓰레기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