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남한의 신자유주의적 교육이 결합된 분단 통치의 자장 하에서 북한이탈주민 청년 세대들의 다양한 차이들을 인식하면서 그들의 교육 경험을 해석하고 기존의 인정의 틀에 머무르지만은 않는 소수자-되기의 과정과 효과를 유목적 주체성으로 탐구한다.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은 교육 자본 획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특별 전형을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특정한 집단으로 범주화되고 사회적 인정 체계에 놓인다. 그러나 남한의 교육 통치 하 이들의 자기 기획은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집단화된 규정에 포섭되면서도 동시에 동질화를 비껴서 자기 자율성을 가지고 넘어가기를 하는 등 변위하는 유목적 주체로서의 수행적 효과들도 보여준다. 또한, 남한과 북한, 북한이탈주민, 자유와 인권 등 기존 기표들의 정치화된 기의들이 현재의 나를 설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을 때, 일방적으로 사회적 인정 체계에 포섭되지만은 않는 탈주된 방향성을 내포한 자기서사를 구성하고 새로운 소수자-되기/생성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분단의 이분법의 대칭성과 그 경계선에서 포섭 또는 이탈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일 수 있는 그 상태에 대해 긴장감을 유지하고 그것을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새로운 위치와 방향성을 생성하는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