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이황 철학 연구 ‒객관적 관념론에서 신학적 관념론으로‒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Yi Hwang in North Korea - From Objective Idealism to Theological Idealism -

상세내역
저자 강경현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철학회
학술지 철학
권호사항 15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3-128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북한   #조선 철학   #이황   #객관적 관념론   #신학적 관념론   #강경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으로 조선철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연구에서 이황 철학은 1960년 이래로 봉건 도덕 윤리를 옹호하기 위해 고안된 관념론이면서도 인식론의 차원에서 대상 세계의 실재함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객관적 관념론”으로 평가된다. 2010년 간행된『조선철학전사』에서 이황 철학은 “신학적 관념론”이라는 용어를 통해 “극단적인 관념론”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이황 철학의 인식론이 “신비적 직관[神悟]”을 방법으로 한다는 해석, 그리고 동아시아 관념론을 발전사적으로 바라보며 주희 철학의 관념론적 사유가 이황 철학에 이르러 완결성을 갖추게 되었다는 철학사적 이해가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변화가 기존의 철학사 서술과 비교할 때 이황 철학의 원전과 개념을 보다 충실히 인용하고 구성해 내면서 진행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studies since the 1960s, where Korean philosophy is viewed as a struggle between materialism and idealism, Yi Hwang’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as ‘objective idealism.’ This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his philosophy was crafted to defend a feudal moral ethic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objective world to some extent within the realm of epistemology. In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published in 2010, Yi Hwang’s philosophy is portrayed as ‘extreme idealism’ through the term ‘theological idealism.’ This shift in perspective revolves around understanding Yi Hwang’s epistemology as a form of ‘mystical intuition’ and adopting a philosophical-historical viewpoint that sees East Asian idealism as a developmental narrative, culminating in Yi Hwang’s philosophy.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this change is accompanied by more thorough citation and organization of Yi Hwang’s philosophical literature and concepts when compared to existing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북한 조선철학사의 이황 철학 서술 개괄
3. 『조선철학전사』(2010)의 이황 철학 이해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