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상중심 집단적 혁신담론 이면의 물질적 유인의 강조, 개인적 욕망을 수용하려는 모순적 담론의 공존 현상의 배경과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북한 문헌을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경제발전이라는 국가목표를 견인해나가는 이중적 담론전략으로서 이들 담론이 생산, 유포되는 배경을 이론적, 사회경제구조적, 경제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지금 북한은 물질적, 개인적 욕망을 체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 과거의 인식과는 거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욕망을 수용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욕망을 실현할 능력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지도자와 체제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북한 당국의 담론전략이 어떤 효과를 갖는가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세대별, 계층별 이해관계와 단일하지 않은 집단적・개인적 욕망의 흐름과 이에 대한 담론전략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