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시장화에 따른 북한사회 변화와 한국교회 대북지원에 대한 함의

Implication on the engagement of the Korean Church in aid project for North Korea and its Social Change in light of Marketization

상세내역
저자 유영식
소속 및 직함 장로회신학대학교
발행기관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학술지 장신논단
권호사항 55(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61-300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시장화   #계획과 시장   #북한사회 변화   #한국교회   #인도주의적 지원   #유영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사회의 시장의 확산에 따른 시장화 전개 과정을 계획과 시장의 ‘혼종’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시장화 현상이 북한사회를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그리고 시장화에 따른 북한사회의 변화 양상이 한국교회의 인도주의적 대북지원 수행에 있어 어떤 함의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2019년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은 2020년부터 강대강 정면승부 투쟁원칙에 따라 공세를 강화하고 한미 양국은 강경한 대북압박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미국을 위시한 국제사회가 2017년 이후 북한에 대한 고강도 경제제재를 실행 중인 상황에서, 2020년 1월 시작된 코로나19 비상방역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국경을 봉쇄한 북한은 ‘고난의 행군’에 대한 기억을 재소환했다.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해 ‘자력갱생 대 제재봉쇄’의 대결구도로 압축되는 현 상황의 출구를 모색한다면 지금이 적기다. 고강도 대북 경제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이지만,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예외조치가 필요하다는 국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고, 한반도의 안정적인 평화정착을 위해서라도 남북한의 경제적인 상호의존성의규모와 수준을 확대·심화시켜야 한다. 한국교회는 북한인민들을 위한 최소한의안전장치로 인도주의적 면제(exemption)를 작동하도록 한 국제사회의 규범에 부응해야 한다. 다만 북한사회 내부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오늘의 북한사회는 ‘시장 없는 북한’을 상상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북한의 시장은 묵인과 방기, 통제와 억압, 활용과 약탈의 과정을 거쳐 점점 더 진화하고 있다. 김정은 집권 시기 북한정권은 시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양새이고, 핵능력 고도화에 따른 경제제재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오히려 시장을 체제생존과 존속에 활용하고 있다. 2020년 10월 이후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시장에 대한 당적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시장을 전면적으로 배제하기에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경로의존성을 보이고 있다. 시장은 무능한 국가를 대신하여 인민들의 생존을 책임지면서 인민들로 하여금 자율과 선택, 주체를 체득하도록 했다. 동시에 부패 만성화와불평등, 계층 양극화와 같은 비사회주의적 현상의 확산도 초래하고 있다. 이런 북한사회 변화들은 한국교회의 인도주의적 대북지원에 있어 3가지 함의를 던져주고있다. 시장화에 따른 북한사회 변화 추세로 볼 때, 한국교회 대북지원에 있어 인도주의적 원칙에 입각한 대응, 긴급구호와 개발지원의 공진, 철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분배투명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