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후 북한의 체제 전환은 혼란과 불안정으로 아노미 상태와 사회적 격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북한 주민들은 사회적 불평등, 차별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요소는 ‘외상 후 울분장애(PTED)’와 ‘아노믹 우울’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일 후 북한 주민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요인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법・정책적 대안을 제안한다. 특히 문화적응 이론을 바탕으로 정신건강 취약 집단 및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신건강의 국제기준인 ‘회복 패러다임’을 지향점으로 삼는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부터 통일 이후의 시점까지 전반적인 법・정책 방향성을 설정한다. 독일이 통일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을 타산지석 삼아 정신적으로 안정된 통일을 이루는 것이 우리의 시대적 과제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