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심층면접 자료 분석은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세 가지 생애사 분석틀, 즉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은 「아버지의 과거 전력이 원죄가 되어 소수자 중의 소수자로 삶아가는 삶」, 「남편을 잃은 후 온몸으로 세상의 비난을 받아낸 삶」, 「중국 한족 노인 수발인으로서의 삶」, 「희망의 땅 남한에서 두 번의 결혼과 배신」으로 4개, 전환점은 「흥남 철수 탈출 실패와 반동분자로서의 북한잔류」, 「반동분자 자손들 간의 결혼」, 「남편과 사별 후 고난의 행군 시대 두 자녀의 상실」, 「중국으로의 밀입국 후, 열여덟 살 많은 한족 노인과 결혼」, 「한국 정착 후 네 살 연하의 남편과 결혼」, 「노인과의 결혼과 병수발」으로 6개, 적응은 「반동분자의 딸로서 무조건 참아내는 적응전략」, 「남편을 잃은 후 고난의 행군시절, 과부로서의 삶의 적응」, 「중국에서의 적응 전략: 도구적 수단으로서의 결혼」, 「남한에서의 적응 전략: 나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2번의 결혼」,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든든한 의지처 찾기」으로 5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