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국전쟁기 군경에 의한 민간인 학살의 지역별 현황과 양상- 1기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Patterns of Civilian Massacres by the Military and Police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Firs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s Investigation Report -

상세내역
저자 김숙희, 박경민, 정혜인
소속 및 직함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발행기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학술지 한국민족운동사연구
권호사항 (12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9-509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   #형무소 재소자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자   #부역혐의자   #군경 토벌작전   #김숙희   #박경민   #정혜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활동했던 1기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민간인 학살사건의 유형과 성격을 검토하는 것이다.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이 전수조사가 아닌 신청 사건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관련 연구 및 조사 결과등도 참고하였다.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경기지역에서는 부역혐의자 학살이 전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며, 군경의 토벌작전 및 기타 학살 사건으로 인한 피해도 확인된다. 강원지역에서는 군경 토벌작전 중 학살사건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부역혐의자 학살이 그 뒤를 잇는다. 충남지역에서는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국민보도연맹원 학살과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도 태안과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충북지역에서는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민간인 학살사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특히 청원에서 피해가 컸다. 경북지역은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전쟁 전 민간인 학살과 부역혐의자 학살 피해도 확인된다. 경남지역에서는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가장 큰 피해를 주었고 부산·마산·진주에서는 형무소재소자 학살도 적지 않았다. 경남 서부지역은 전쟁 전 민간인 학살 피해가 확인된다. 전북 지역은 군경의 토벌작전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고창, 순창, 임실, 남원 등 전북 남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학살자가 발생한 전남지역은 전쟁 전부터 피해가 컸으며 전쟁 중에는 군경의 토벌작전으로 인한 학살사건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였다. 전남 동부지역은 전쟁 전 피해가 컸고, 전남 서부지역은 군경 토벌 작전 및 기타 사건으로 인한 학살사건이 많이 발생했다. 서울·경기, 강원, 충남지역은 부역혐의자 학살사건 수치가 높게 확인된다. 이 지역들은 전쟁 발발 초기 북한군에게 점령되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 사건이 상대적으로 적고, 9.28 서울 수복 이후 군경이 비교적 빠르게 장악했기 때문에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충북, 경북, 경남, 제주 지역은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사건이 많이 발생한 지역이다. 충북지역은 우익성향이 강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들의 피해가 컸고, 경북, 경남 동부지역, 제주지역은 북한군 점령이 늦거나 점령되지 않았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들을 학살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경남 서부지역, 전북, 전남지역은 군경의 토벌작전 및 기타 사건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 이 지역들에서는 9.28 서울수복 이후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 및 좌익세력들이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고, 서해안을 통해 퇴로를 확보하고자 했기 때문에 군경의토벌작전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들이 학살 피해를 당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