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6·25전쟁 시기 한미연합군의 포병부대 탄약 보급체 계를 미군의 지원 이전과 이후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했다. 한국군은 전 쟁 발발 직전과 유엔군의 지원 이전에는 미 군사고문단의 승인에 따라 탄약을 보급받았고 탄약의 양은 전면전을 수행하기에는 매우 부족했다. 탄약 보급은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육군 지휘관들의 탄약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 정도에 따라 북한군의 남진 속도가 결정되 었다. 본격적인 탄약 보급체계는 미군이 참전하고 부산기지사령부가 창설 되면서 확립되기 시작했다. 미군은 일본군수사령부를 창설하여 일본 본 토를 군수지원 기지로서 활용했고 해상과 공중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부산에 위치한 창에 탄약을 보급했다. 이후 부산에 하역된 탄약은 기존 에 설치되어 있던 철도체계를 통해 전장으로 수송되었고 철도 수송이 제한되는 지역으로는 차량을 이용한 도로 체계를 통해 보급했다. 미군 의 탄약 보급체계는 전황이 진행되면서 부산기지사령부에서 부산군수 사령부를 거쳐 제2군수사령부로 개편하면서 완성되었다. 전쟁 초기 탄 약 저장 수준이 기준에 충족되지 못했을 때는 공중 수송을 통한 긴급 공수, 1일 CSR 조정 등 작전 수행을 위한 긴급 조치가 존재했다면, 전 쟁 후반기에는 탄약의 저장수준과 수송 체계가 확립되면서 안정적인 탄약 보급이 가능해졌다. 이처럼, 6·25전쟁에서 탄약 보급체계의 확립은 전쟁 수행 간 중요한 지속지원 요소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