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직업에 관한 연구 : 학술연구 동향 및 의미연결망 분석

A comprehensive review of employment and occup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cademic Research Trend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상세내역
저자 이상희, 김태성, 김희주
소속 및 직함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발행기관 한국인력개발학회
학술지 HRD연구
권호사항 2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93-221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취업   #직업   #의미연결망 분석   #이상희   #김태성   #김희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및 직업과 관련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에 나타난 다양한 이슈와 이들의 상호관계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KCI등재(후보) 학술지 51종에 게재된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직업에 관한 연구 75편의 결론 섹션의 텍스트를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정제, 주요 단어의 선정 및 중심성 분석, 콘커 분석과 하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먼저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직업에 관한 연구의 현황에 대해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별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이들 연구에서 주로 언급되는 단어에 대해 중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책제도’, ‘취업정착지원’, ‘적응’, ‘직업교육훈련’, ‘정서적 어려움’ 등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단어의 연결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UCINET6를 활용한 콘커 분석을 수행하여 4개의 군집을 도출하였고, 하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정책제도와 직업교육훈련’, ‘적응과 어려움’, ‘진로’,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연결 강도에 따른 의미를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가 가진 의미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단어들 사이의 연결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는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직업에 관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