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통일의식 연구에서 그동안 활용되지않았던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통해 한국 국민의 통일방식을 더 세부적이고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목적을 둔다. 통일의식을 측정하는 기존 연구 방법론은 직접 단답형다항 선택식 문항으로 통일의 필요성, 시기, 통일관, 통일한반도의 정치체제 등 최종 체제에 관한 질문으로 측정해왔다. 그런데 각 변수 내 선택지에 대한 선호 혹은 비선호의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기에 어느 조건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지 알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 조사 결과를 활용한 복합적 정책 설계는 한계가존재한다.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이라는 실험적 조사설계를 활용하여 통일 후의 정치체제, 북한 지도부 정리, 노동당 당원 정리, 남한기업의 북한 경제참여, 북한 지역 군대 주둔문제 등 여러 차원의 속성수준으로 설문지를구성하여 실제 선호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연합제보다 단일민주 정부에 대한선호, 노동당 당원에 대한 민감한 직위의 배제와 지도부의 기소 등 여러 차원에서 강한 선호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국민의 통일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선호를 보여줌으로써, 통일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질 경우, 통일에 대한 정책설계를 위한 유익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