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강원도의 지명에 관한 연구 -행정동⋅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Place Names of the Gangwon-Do,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창환, 양준혁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사진지리학회
학술지 경관과 지리
권호사항 33(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09-125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지명   #북강원도   #지명소   #자연지명   #합성지명   #김창환   #양준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강원도 행정동⋅리 지명의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일제강점기 때발행된 지형도와 북한과 국토지리정보원 자료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강원도는 2 개 시, 15개 군 462개의 행정동⋅리 체제를 가지고 있다. 둘째, 북강원도의 행정동⋅리가 가장 많은 곳은 59개의 원산시이며, 군 단위에서는 37개의 철원군이다. 가장 적은 곳은 김화군으로 15개이다. 셋째, 동일한 지명으로 가장 많은빈도를 보이는 전부지명으로는 새롭게 마을을 일구고 그 마을이 흥하기를 염원하는 의미인 ‘신흥(新興)’이 4개로 가장 많으며, 3개인 경우는 ‘용포’, ‘용천’ 등 6개이다. 넷째, 행정동⋅리 지명의 전부 지명소는 산(山)의 빈도가 가장높았으며, 마을 형성의 변화 과정을 내포하는 신(新)이 차순위이다. 마지막으로 462개 행정동⋅리 중 자연지명이 192 개로 전체의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지형과 관련된 지명으로 국한시키면 35.9%에 이른다. 이는 북강원도 행정동⋅리 지명 형성에 자연지리적 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합성지명의 경우는 89개로 인문지명과 거의 맞먹는 수준으로 많았다. 이는 북강원도가 잦은 행정구역 개편의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