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시대 언어 및 문화 통합을 위해 국어교육의 역할이 긴요하다. 현재까지 북한 국어교육을 연구하거나 남북한 국어교육을 비교한 연구는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통일시대 국어교육을 본격적으로 모색한 연구는 소략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전제를 탐색하고 몇 가지 쟁점들을 분석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통일 시기 및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통일 시기 및 방식에 따라 국어교육 양상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국어교육을 미리 대비해야 한다. 다음으로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역시 국가교육의 일환임을 고려하여 이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현실적인 한 방향이 된다.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으로 다음 사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개발 관점으로 상호문화주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목명은 ‘국어’로 한다. 셋째, 국어교육의 성격에는 언어 및 문화 통합을 위한 내용이 강조될 수 있다. 넷째, 역량 면에서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정보처리역량’, ‘상호문화이해역량’ 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영역 면에서 ‘매체’, ‘어휘’ 등을 독립 영역으로 설정할 필요도 있다. 먼저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통일 시기 및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통일 시기 및 방식에 따라 국어교육 양상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국어교육을 미리 대비해야 한다. 다음으로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역시 국가교육의 일환임을 고려하여 이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현실적인 한 방향이 된다.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으로 다음 사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개발 관점으로 상호문화주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목명은 ‘국어’로 한다. 셋째, 국어교육의 성격에는 언어 및 문화 이질화에 관한 내용이 강조될 수 있다. 넷째, 역량 면에서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정보처리역량’, ‘상호문화이해역량’ 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영역 면에서 매체를 독립 영역으로 설정할 수 필요도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