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20C 전반기, 한국어학 학술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夫), 이숭녕, 김수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Linguistic Academic Network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deo Kobayashi, Sung-nyeong Lee, and Su-kyung Kim-

상세내역
저자 서민정
소속 및 직함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학술지 우리말연구
권호사항 (6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1-18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한국어학   #경성제국대학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夫)   #이숭녕   #김수경   #소쉬르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이희승   #김두봉   #서민정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한국어학의 학술 네트워크를 고찰하기 위하여, 경성제국대학 예과와 법문학부에서 스승과 제자 등으로 학술 관계를 형성하며 한국어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학자들 가운데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夫, 1903~1978)’와 ‘이숭녕(李崇寧, 1908~1994)’, 그리고 ‘김수경(金壽卿, 1918~2000)’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고바야시 히데오는 제국 일본의 언어학자로 경성제국대학에 부임하여 소쉬르의 언어학과 같은 서구 언어이론을 소개하는 등 당시의 조선인 제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 중의 한 명이었으나, 지금까지 한국어학사에서 크게 주목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고찰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숭녕과 김수경은 각각 서울대학교와 김일성종합대학교라고 하는 남한과 북한의 최고 대학에서 한국어를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면서 광복 이후 각 체제의 국어 정책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이들의 학문적 배경과 영향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고바야시 히데오와 이숭녕 그리고 김수경의 영향관계를 고찰함은 물론,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다른 학자와의 영향관계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들의 학문적 배경을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고, 이들의 학문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식민지와 제국, 남북한의 분단이라는 20세기 전반기의 시대 상황과 한국어학을 관련시켜 고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