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의 변천과 그 특징-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riotismEducation before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상세내역
저자 김홍수, 조수경
소속 및 직함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지 윤리교육연구
권호사항 (6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5-49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애국심 교육   #도덕과   #반공   #민족주의   #교육과정   #김홍수   #조수경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87년 민주화 이전 시기까지, 시기별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도덕과의 애국심 교육내용과 그 특징을 밝히고, 그것이 도덕과 교육에서 가지는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기실 초·중등 학교에서 도덕과는 애국심 교육을 담당했던 핵심 교과였다. 본 연구에서 주창하는 ‘민주화 이전시기 애국심 교육’의 핵심을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시기에는 개인의 윤리적 가치보다는 민족과 국가 충성을 강요했다. 둘째, 해당 시기의 애국심 교육에서 국가이념은 한편으로는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국가발전과 국가주의 경향을 가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저한 반공에 기초하여 북한에 대한 부정, 민주주의의 우월성, 평화통일을 동시에 주장하였다. 셋째,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에서는 애국과 반공이 세계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목차